공자학원
G2시대를 대비한 대학과 지역의 국제화 경쟁력 제고, 체계적인 중국어 교육과 중국문화교류·체험을 통한 대(對)중국 전문인력
양성하고자 합니다. 공자학원을 통하여 지역사회의 고유한 전통문화를 활용한 중국과의 다양한 문화교류 허브(HUB)역할을
기대할 수 있습니다.
-
전화번호 054-820-6615~6
-
팩스번호 054-820-6617
-
이메일 gosiwon@andong.ac.kr
중국어 강좌 운영
Step별 중국어 회화
- 초급(5단계)-중급(4단계)-고급(2단계)까지 단계별로 전문회화 교재를 사용하여 중국어를 처음 배우는 사람부터 중국어 관련학과를 졸업한 사람까지 단계적으로 점진적으로 심화하여 실력을 향상시켜드립니다.
- 중국에서 전문적으로 교육을 받고 온 원어민 강사들의 강의로 발음과 어법, 다양한 어휘와 표현을 배울 수 있습니다.
중국어 특화과정
- HSK/HSKK 자격증 취득과정
- 영어로 배우는 중국어
- 논어로 배우는 중국어
중국어 자격증 시험 실시
매년 4~5회의 HSK/HSKK 정기시험을 안동대학교 내에서 실시합니다.
추로지향 문화활동
연수문화탐방
- 교육 CEO 중국 교육·문화연수 : 교육 관계자들의 중국 현지 연수
- 추로지향 여름방학 중국어 캠프 : 중국 현지에서의 어학캠프(곡부사범대학)
- 추로지향 문화탐방 : 수강생 및 지역민의 중국 문화 탐방 지원
학술·문화교류
- 추로지향 문화강좌, 명사특강 : 중국과 한국의 문화를 비교하고 이해하는 자리
- 중국문화체험일(한어일/예악주간) : 중국 문화를 직접 체험해 볼 수 있는 자리
- 추로지향 국제학술대회 : 중국 및 세계의 유학관련 전문가를 초청하여 유교문화와 현대의 조화, 전통과 현대의 소통을 논의하는 자리
-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 중국문화체험부스 운영
한중 유교·인문교류 컨퍼런스
중국의 저명한 인문학자 및 유교·인문교류 관련 인사를 초청하여 한중 양국의 유교·인문교류 활성화를 위한 컨퍼런스를 매년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 기간에 개최합니다.
장학 지원
어학연수(1학기/1년)
중국현지의 유명대학에서 언어와 문화를 체험하고 학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하여 공자학원장학생을 선발합니다. 안동대학교공자학원에서는 우수한 수강생을 적극 추천하여 공자학원장학생으로 유학 갈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.
신청자격, 혜택사항으로 구분된 어학연수 장학지원 안내표
구분 |
신청자격 |
혜택사항 |
공통 자격 |
16~35세 미만, 한국 국적자 |
- 학비, 기숙사비, 기본교재비 전액 면제
- 생활비 RMB 1,400원 매월 지급
- 정착비 1회 지급
|
1학기 과정 |
HSK |
2급 이상(120점 이상) |
HSKK |
초급(40점 이상) |
1년 과정 |
HSK |
3급 이상(180점 이상) |
HSKK |
초급(60점 이상) |
석사학위과정
공자학원 장학생을 선발하여 향후 중국어교육에 종사하고자 하는 외국인들이 중국 현지의 대학에서 "한어국제교육전공 석사학위과정"을 이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. (학비·기숙사비·기본교재비 전액 면제, 생활비 1,700원 매월 지급, 정착비 1회 지급)
중국어대회 참가자 양성
참가를 희망하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중국어 및 중국 국가지식·문화기능 등 교육
안동대학교공자학원 부속시설
안동 청소년중국어교육센터
- 자율과 창의, 다양성이 확대된 전문적인 중국어 교육 및 체험활동 프로그램을 제공하여, 학생의 잠재된 소질 계발 및 문화적 욕구를 충족시켜줌으로써, 미래사회를 주도할 글로벌 인재를 양성하고자 합니다.
- 매년 초등학생 5학년, 중학생 1학년을 대상으로 선발하여 2년간 무료로 교육을 진행합니다.
한중유교문화연구센터
- ‘한국 정신문화의 수도’, ‘퇴계의 고향’ 안동이라는 지역적 특성을 살려 한중유교문화연구센터를 설립하여, 韓中 문화·학술 교류 및 연구에 중심적 역할을 하고자 합니다.
- 지역 유학 관련 인물 및 문헌 연구, 명사 초청 강좌 및 학술세미나 개최, 지역 유학관련 학술잡지 및 총서 발간 등 다양한 유교 문화 활동을 진행하고자 합니다.
기타 지원
번역·교정
중국문화 특강 및 체험
- 지역 내 교육기관 및 기타 기관의 중국문화에 대한 이해를 위한 문화 특강 및 문화체험 요구 시 진행
- 중국 차(茶) 시음회, 중국 전통 종이공예, 중국 서예, 중국 전통 복식(옷) 체험 등